기사 메일전송
영란은행(BOE) 8월 첫 금리인하 시작하나 .. 최근 영국 국채금리 흐름은
  • 기사등록 2024-06-10 11:58:03
기사수정

 시사바로타임즈= 신달관기자


  최근 미국 경제(24.1분기 GDP 성장률 1.6%, 전기비 연율)가 소비및 투자증가세에 힘입어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영국 경제( 24년 1분기 성장률 0.6%, 전기비)는 지난 하반기 이후 지속된 기술적 침체( 23년 3분기 -0.1%→ 4분기 -0.3%)에서 벗어난 모습이다.  


 영국의  조기 총선(7.4일)을 앞둔 시점.  영란은행(BOE)이 물가의 지속성 관점에서 중시하는 서비스 물가 상승률(24.4월 +5.9%, 전년동월대비) 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최근 영국의 인플레이션 (CPI상승률 4월 2.3%, core CPI 3.9%, 전년동월대비)은 꾸준한 둔화세를 나타냈다. 


 영국의 Pivot(금리인하) 시점(8월?)이 미국보다 앞 당겨질까. 올해 3월이후 미 연준(Fed)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확대된 상황.  최근 미국의 물가 둔화세가 정체·지연된 가운데 5월 미국 고용지표(non farm +27.2만명)는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영국보다  미국의 통화정책기조 전환(Pivot) 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을까.  향후 영국의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지속 나타낼까. 


견조세를 보인 미국의 5월 고용지표(7일) 발표영향으로 이날 미국의 국채금리는 큰 폭으로 상승(10년물 6일 4.29%→7일 4.43%, +15bp, 2년물  4.72→4.89% +16bp)했다. 영국 국채금리도 장(+9bp)·단기(+6bp) 금리 모두 상승했다. 미 연준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확대된  3월말 이후로 보면 지난 3월말 3.93% 였던 영국 장기 10년물 국채금리는 2024년 6월 7일(현지시간) 기준으로 4.26%로 올랐다.  같은기간 단기 2년물 국채금리는 4.17%에서 4.40%로 올랐다. 2023년 말이후로 보면 미국과 달리 단기금리(23년말 3.98%→ 24년 6.7일 4.40%, +42bp)보다 장기금리( 3.54%→4.26%,+ 72bp)가 더 크게 상승했다. 7일(현지시간)기준으로 영국의 장·단기 금리(10년물-2년물) 역전차는 -14bp(3월말 -24bp)를 기록했다. 


자료 bloomberg, BLS 참조


신달관기자 moshin@sisabarotimes.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isabarotimes.com/news/view.php?idx=808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나무와 봄노래, 그리고 당연한 것들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하얀 눈과 길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꽃밭가득 봄노래 부르고 싶단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