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필요악(惡)? 손자병법이야기…상산(常山)의 사세(蛇勢)
  • 기사등록 2016-11-07 19:32:10
  • 수정 2016-11-07 19:52:43
기사수정





 

 

손자(孫子)는 상산(常山)의 사세(蛇勢)를 강조한다. 손자(孫子)는 중국의 유명한 병법서(兵法書)로 춘추전국시대에 오()나라에 있었던 손무(孫武)가 쓴 책이다. 손무는 오왕 합려(闔閭)를 섬기며 서쪽으로 초()나라 서울을 함락하고 북방으로는 제(),() 등을 격파한 명장이다.

 

이 책은 명쾌하고 치밀한 이론과 문장 때문에 읽는이의 몸과 마음을 조이게한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등 적지않은 명구가 들어있다. 11편의 구지(九地)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온다.

 

()을 쓰는 법에는 아홉 개의 지()가 있다. 그 구지(九地)의 마지막 것을 사지(死地)‘라고 한다. 우리나라 이순신 장군의 말처럼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을 수 밖에 없는 필사(必死 의()이다. 손자는 병을 사지에 두고 싸울때의 중요성을 여러 종류로 설명한 다음 이렇게 말한다.

 

그런 고로 용병을 잘하는 자는 예를 들면 솔연(率然)과 같다. 솔연은 중국 오악(五岳)의 하나에 드는 유명한 산인 상산(常山)의 구렁이다. 이 뱀은 사람이 머리를 치면 꼬리로 덤벼들고, 꼬리를 치면 머리로 덤벼들고, 허리를 치면 머리와 꼬리로 함께 덤벼든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었다.

 

손자는 군대 전체가 이 상산의 뱀처럼 긴밀한 연결을 갖는 유기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하다고 자문자답한 후에 그는 오월동주(吳越同舟)의 예를 들고 있다.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는 예부터 서로 원수지간이다. 백성들끼리도 서로 미워했다. 가령 오나라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고 할 때 바람이 불어와 배가 뒤집힐 위기에 놓였다면 어떨까?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은 평소의 감정을 잊고 서로 좌우의 손이 된 듯이 돕게 될 것이다.

 

바로 이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필사적으로 하나로 뭉쳐진 병사의 마음이다. 함께 생명의 위험에 휩쓸리게 되면 적군이던 사람들 사이에도 협조가 이루어진다. 군대를 모름지기 한 덩어리로 만들려면, 뒤로 물러설 수 없는 위기에 서게 하여 군사 한사람, 한사람으로 하여금 필사적인 마음가짐을 갖게 해야 한다는 것이 손자의 결론이다.

 

시사바로타임즈 편집부

 


[덧붙이는 글]
손빈(孫臏)이 '손자;의 저자라는 설도 있다. 손빈은 전국시대 제나라에 있었던 이름난 병법가다. 그는 두다리를 못쓰게 된 이래 기구한 운명을 겪으면서도 후에 제나라 대장군이 되었다.한편 오월동주(吳越同舟)란 말은 오늘날 전투의 경우가 아니라도 사이가 나쁜 사람들끼리 공동의 행동을 취할 때나 우연히 한자리에 있는 경우에 쓰이기도 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isabarotimes.com/news/view.php?idx=30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나무와 봄노래, 그리고 당연한 것들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하얀 눈과 길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꽃밭가득 봄노래 부르고 싶단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