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모발관리) ① 모발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기사등록 2015-06-04 11:46:36
기사수정

 

                                       (헤어 사이클)
 

 모발은 모유두가 없으며 자라지 않고 모유두 수는 태어날 때 이미 결정되고, 모유두 수가 감소하면 모발 수도 감소한다. 헤어 사이클은 성장기- 퇴화기- 휴지기-발생기로 나뉜다. 모발 성장기는 남성 35년, 여성이 47년, 그 후 퇴화기 3,045일, 휴지기가 45개월 정도 지나 자연적으로 탈모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지기의 마지막이 되면 새로운 모발이 생성되는 초기 발생기가 시작된다. 모발은 보통 하루에 0.2~0.5mm정도 성장하며 하루 중 낮보다 밤에 더 자라고 가을.겨울보다 봄.여름에 성장이 빠르다. 현대인들의 탈모예방과 아름다운 모발관리를 위해 모발(근)의 구조에 대해 알아봤다.

 

두상에 존재하는 털은 모발이라고 부른다. 인간의 모발은 재생력이 없는 캐라틴 단백질(경단백질)로 구성되며 이 단백질은 손톱이나 발톱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형성되어있다.

 

                                                              (두피)

Q모근(Hair Root)이란 두피의 경계로 피부 안쪽에 있는 부분으로 모근의 가장 아래의 부풀어진 부분을 모구라하고, 모낭은 작고 긴 관 모양으로 피부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 모근을 이루고있는 내.외층의 피막이며 10만개 정도가 있다.외모근초,내모근초는?

 

A 외모근초, 내모근초는 모구부의 세포분열에 의해 조성되어 모발의 성장과 함께 위로 올라가며 모구부에서 생성된 모발이 각화될 때까지 운송하는 세포이다. 내모근초는 외측으로부터 핸리층, 헥슬리층, 근초피층의 3층으로 구성되어있다.

 

Q 모유두(Papilla)는

A 진피 세포층에서 나온 모유두는 태어날 때부터 숫자가 결정되어있으며 모유두의 표면에는 수많은 모모세포로 덮어져 있어서 모발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구 밑의 오목하게 패인 곳으로 모세 혈관이 있고, 영양분을 모모세포로 전달하여 모발의 생성을 돕는다. 이 모유두에는 모세혈관이 있고, 영양분을 모모세포로 전달하여 모발의 생성을 돕는다. 이 모유두에는 모세 혈관과 자율신경이 많이 분포되어있으며 아미노산, 미네랄, 비타민등의 영양소와 단백질 합성 효소 그리고 호르몬 및 산소가 공급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모유두의 활동이 왕성하면 모발이 건강하고 탈모가 적게된다.

모세혈관과 감각신경이 연결되어 있어 모세혈관을 통해 공급받는 영양분과 산소를 모기질에 보내는 역할을 하며, 모발의 최하위층에 위치하여 모발의 성장 물질을 분비하여 모발의 성장을 조절, 모발의 굵기를 결정한다.

 

Q 모낭(Follicles)은

A 모낭은 모근부를 싸고 있는 내.외층의 피막이며 모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모낭의 수는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며, 어릴 때는 연모이면서 모든 모낭에서 모발이 발생하지 않으나, 사춘기가 되면 모낭에 싸여있던 모발이 모두 발생되게 되고 굵어지면서 경모화된다. 하지만 25세 이후로 모낭의 수는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며 모발의 굵기도 가늘어지지 시작한다.

                                      


 

Q 입모근 (Arrector Pili Muscle)

A 모발의 경우는 두피에서 45도 각도로 비스듬하게 성장하며 모낭에 존재하는 입모근이 연결되어 추위나 공포를 느낄 때 입모근이 수축하면 털은 옆으로 회전하면서 꼿꼿하게 서게 된다. 입모근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며 근육이 수축되면서 피지선의 피지가 모닝 속으로 압출되게 된다. 보통은 모발 한 개에 1~2개의 입모근이 있으며 겨드랑이 털이나 눈썹,속눈썹에는 입모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Q 피지선(Sebaceous Gland)

A 피지선은 모낭 벽에 붙어있으며 피지를 분비하여 모발을 매끄럽게 한다. PH 4.5~5.5로 피지막을 약산성 보호막이라고도 한다. 남성 호르몬, 식생활,계절,환경,연령, 온도에 따라 분비량이 달라지고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으며 얼굴,두피, 가슴 등에 발달되어 있으며 손바닥, 발바닥은 피지선이 발달되어있지 않다. 피지의 작용은 살균, 소독,보습, 중화,윤기,비타민 D 생성의 역할을 하며 1일에 12g정도 분비된다. 세정 후 피지분비 정도는 목욕후 34시간, 샴푸 후 12시간 세안 후 1시간이 지나면 생성된다. 입술과 같은 점막에는 모낭이 없기 때문에 피지선이 직접 피부표면으로 연결되어 피지가 분비되는 데 이와 같이 모낭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피지선을 독립피지선이라 한다. 모q 벽에 붙어있는 피지선에서 만들어지는 피지는 반유동성의 유성물질로써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왁스(Wax), 스쿠알렌(Squalence), 콜레스테롤(Cholesterol)과 콜레스테릴에스테르(CholesterylEs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지는 세균이나 곰팡이 균을 방어하는 작용을 하며 피부 및 모발에 윤기를 부여해 주고 체온의 저하를 막아준다. 피지션의 활성을 조절하는 요인으로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이 있고 나이나 질병 또는 다른 기관의 기능장애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바게된다. 다른 요인으로는 피지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이 있으며 외부에서 다량의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면 피지선을 위축시킨다.

 

Q 한선(Sweat Gland)이란

인체에는 약 200만개 이사의 한선이 분포되어있고 한선은 크게 대한선과 소한선으로 나누어 피부와 모낭에 땀을 분비하여 피부표면의 독소제거와 체온조절의 기능을 한다. 땀샘을 통한 수분의 배출과 유.수분의 조화로 인한 산성막이 형성되어 세균 침투 방지와 알카리 침투시 외부 자극을 완화 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대한선(Apocrine Sweat Gland,아포크린 한선)dms 모낭과 연결되어 피부의 표면으로 통하게 되어있고 진피의 깊숙한 곳에서 시작되며 소한선(Eccrine Sweat Gland, 에크린 한신)에 비해 단백질이 많다. 소한선(Eccrine Sweat Gland,에크린 한선)은 포유동물에만 존재하며 우리 몸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고 입술,손톱,음부등을 제외한 전신에 분포되어있다. 손바닥.발바닥>이마>빰>몸통>팔>다리 순으로 분포되어있다.

 

Q 모구는

A 모근 아래 부분에 원형으로 부풀려져 있는 부분이다. 털의 뿌리로 모발이 성장하는 곳이며, 하얗고 둥그스름한 부분을 의미 모근 하단부를 지칭한다. 모구의 세포는 유핵세포로써 모근 상부와 모간부의 캐라틴 화된 각화 세포에 비해 세포내에 수분이 많은 둥근 모양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Q 모모세포(Hair Matrix)

A 모구부를 확대하면 모모세포가 모유두를 덮고있다. 이 세포는 형체를 만들고있는 세포 가운데에서도 트기 세포분열이 왕성하여 끊임없이 분열, 증식을 되플이하여 모모세포가 모유두에서 영양을 받아 분열되면서 모발의 형상을 만들어 성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모유두의 정점 부분에는 모수질(Medula)이 될 세포가 분열하고, 그 아래부분에서는 모피질(Cortex)이 될 세포가 분열하여 가장 아래 외측에는 모표피(Cuticle)가 될 세포가 분열하여 위로 밀게된다.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색소는 모모세포 옆의 별도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생성되며, 모피질 또는 모수질이 될 세포로 이동하게 된다. 모발의 기원이며 모유두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세포가 분열한다.

                                                                          * 자문  (사)국제미용가연합회

방 지 연 기자 gybang@sisabarotimes.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isabarotimes.com/news/view.php?idx=138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나무와 봄노래, 그리고 당연한 것들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하얀 눈과 길
  •  기사 이미지 포토에세이) 꽃밭가득 봄노래 부르고 싶단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